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오늘의 주제는 뭘까요? <br> <br>네, 잠시 뒤에 이어질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 얘기입니다. 제목을 '순발력 테스트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<br>Q. 이번 국민과의 대화가 대통령의 순발력을 테스트하는 자리가 될 거라는 의미인가요? <br> <br>네 그렇게 봐야 할 것 같습니다. 국민 300명이 사전 각본 없이 무작위로 질문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를 두고 청와대 관계자는 "출제 범위가 무한대인 시험을 보는 것 같다."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각본 없는 대화의 원조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노 전 대통령의 순발력은 어느 정도였을까요? <br> <br>[2006년 03월 23일 '국민과의 인터넷 대화' 중] <br> <br>[사회자]<br>순발력 테스트를 해도 되겠습니까? 양해하신다면. <br> <br>[노무현]<br>여기 나왔으니까 여기 법을 따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자]<br>양극화 해소의 비법은요? <br> <br>[노무현]<br>저와 여러분들이 함께 풀어봅시… 저와 여러분이… 안 되겠네요. 모두 함께 풀어봅시다… 요!<br><br>Q. 모두 함께 풀어봅시다. 어쨌든 10자에 맞췄네요. <br><br>1시간 동안 답변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지고 10자로 맞추라니 쩔쩔매는 모습이었는데요, <br> <br>잠시 뒤 문 대통령에게도 국론 분열을 가져온 조국 사태나 첨예한 외교 현안에 대한 질문이 쏟아질 겁니다. <br> <br>10년 전 조국 교수는 대통령과의 원탁대화에 패널로 참석해 이명박 당시 대통령에게 이런 질문을 던졌습니다. <br> <br>[조 국 / 당시 서울대 법학대학 교수 (2009년 1월, 대통령과의 원탁대화)]<br>미국 오바마 정부는 곧 북·미·일 사이의 직접 대화를 통해서 북핵 문제건, 북미 수교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고 보도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이러다가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서 우리 정부가 혹시 발언권을 잃는 것은 아닌지… <br><br>Q. 조 교수가 토론회에도 참여했었네요. 지금도 북핵 문제는 진행형이니 문 대통령도 오늘 비슷한 질문을 받겠지요? <br><br>그럴 것 같습니다. 정말 중요한 건 순발력보다 얼마나 진정성 있게 국민을 설득하느냐, 이걸 겁니다. 그런 점에서 각본 없는 국민과의 대화가 부적절하다, 이렇게 지적한 인물이 있습니다. <br><br>바로 대통령행사기획 자문위원인 탁현민 전 행정관입니다. <br> <br>오늘 페이스북에 생방송으로 즉각적인 답변을 하는 것이 순발력을 보여줄 수 있을지 몰라도 이런 순발력이 대통령 말의 무게와 깊이보다 중요한지 모르겠다, <br> <br>나라면 '국민과의 대화'는 하지 않았을 것이다, 이런 글을 남겨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Q. 오늘이 행사 날인데 고춧가루를 뿌렸네요. 실컷 행사를 준비한 청와대는 별로 기분이 안 좋을 것 같은데요. <br> <br>청와대가 부글부글 끊고 있다, 이런 기사도 나왔는데요, <br><br>결국 오늘 국민과의 대화에서 문 대통령이 점수를 따면 탁 전 행정관도 더 이상 비판하진 못하겠죠.<br> <br>그러려면 야당의 이런 주문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[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<br>진짜 국민들이 묻고 싶은 것을 대신 묻는 이들은 바로 누구냐, 야당입니다. 야당의 질문에 대해서 제대로 답변해 주십시오. <br> <br>정치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보다 상대가 듣고 싶은 말을 하는 거죠. <br> <br>오늘의 한마디는 "국민이 듣고 싶은 말"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<br>Q. 네, 대통령이 국민이 듣고 싶은 말을 할지 잠시 후 채널에이로 함께 지켜보시지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, 이혜림PD <br>구성: 이재명 차장, 김지숙 작가 <br>그래픽: 전유근 디자이너<br><br>